<치킨 좋아하세요? 미국의 양계업의 흐름이 시사하는 것>
현대에서는 슈퍼마켓에서 연중 구입할 수 있는 것이 '계란'입니다. 언제든 마켓에서 필요한 만큼 구입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조명을 갖추고 봄과 동일한 광량을 유지하는 사육법에 의한 가금류가 발전한 덕분에 가능한 일이라고 합니다. 본래, 자연 환경의 닭은 봄에 알을 낳고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알을 낳는 것을 쉬지만 봄과 같은 환경을 일년 내내 만들어 주므로서 계란의 대량 생산 화를 이루게 된 것입니다.
20세기 초에는 미국의 가금류를 고기 용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알을 낳을 목적으로 키웠다고 합니다.
암탉은 알을 얻을 수 있기에 그대로 키우고 수탉은 알을 낳지 않으므로 어느정도 자란 단계에서는 도축을 했죠.
당시, 봄이 되면 많은 양의 닭고기가 출하되어. 닭고기는 'Spring chickens'로 표현을 했습니다.
음식의 역사에 관한 전문가 로저 호로비츠씨에 의하면 당시 양계업에서는 닭의 나이와 품종등을 전혀 구별하지 않고 봄이 되면 수탉의 고기나 계란의 생산 과잉의 발생으로 처분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닭고기는 비쌌는데 이유는 높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2차 세계대전이 발생하자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은 군용 식품으로 배급되기 시작합니다. 대신 일반 시민에게는 닭고기와 생선을 먹을 것을 권장 합니다. 전쟁 종결 후 1960년까지 전통적인 방법으로 닭을 키워온 양계업자에게 자금을 투입하여 현대 양계 시설을 제공하고 사료 회사등과 협업하여 시스템이 구축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농업부는 마케팅 캠페인을 실시하고 장려한 결과 양계업은 현대적 시설 비용을 절감하게 됩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닭고기는 인기 넘버원 고기의 지위를 확립하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2차 세계 대전이라고 하는 전쟁 상황은 끝나고 나서도 알게 모르게 인간의 의식주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국가의 정책과 시스템등의 투입으로 지금의 변화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돼지고기와 소고기의 대용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의 치킨은 많은 소비를 불러 일으키는 육류가 된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지금의 치킨이 우리의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경로등을 따져보면 놀랍기만 할 따름입니다.
댓글